본문 바로가기

Python

(67)
[동빈나]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 (11)(2021.1.14) 본 내용은 해당 강의 토대로 작성 기타 그래프 이론 1. 서로소 집합 서로소 집합(Disjoint Sets) : 공통 원소가 없는 두 집합 서로소 집합 자료 구조 서로소 부분 집합들로 나누어진 원소들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자료 구조 두 종류의 연산 지원 합집합(Union) : 두 개의 원소가 포함된 집합을 하나의 집합으로 합치는 연산 찾기(Find) : 특정한 원소가 속한 집합이 어떤 집합인지를 알려주는 연산 합치기 찾기(Union Find) 자료 구조라고도 불림 서로소 집합 자료 구조 동작 과정 합집합(Union) 연산을 확인하여, 서로 연결된 두 노드 A, B를 확인 A와 B의 루트 노드 A', B'를 각각 찾는다. A'를 B'의 부모 노드로 설정 모든 합집합(Union) 연산을 처리할 때까지 1..
[동빈나]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4) (2021.1.1) 본 내용은 해당 강의 토대로 작성 그리디 알고리즘 1. 그리디 알고리즘 개요 그리디 알고리즘(탐욕법)은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을 뜻함 문제를 풀기 위한 최소한의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는 능력을 요구 정당성 분석이 중요 단순히 가장 좋아 보이는 것을 반복적으로 선택해도 최적의 해를 구할 수 있는지 검토 일반적인 상황에서 최적의 해를 보장할 수 없는 때가 많다. 코딩 테스트에서 대부분의 그리디 문제는 탐욕법으로 얻은 해가 최적의 해가 되는 상황에서, 이를 추론할 수 있어야 풀리도록 출제 2. 그리디 유형 문제 풀이 거스름 돈 문제 설명 카운터에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500원, 100원, 50원, 10원이 무한이 존재 손님에게 거슬러 줄 돈이 N(10의 배수)원일 때 필요한 최소 동전..
[동빈나]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3)(2020.12.31) [동빈나]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3)(2020.12.31) 본 내용은 해당 강의 토대로 작성 파이썬 문법 부수기 1. 기본 입출력 모든 프로그램은 적절한 입출력 양식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 동작의 첫 단계는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생성하는 것 자주 사용되는 표준 입력 방법 input() : 한 줄의 문자열을 입력 받는 함수 map() :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각각 특정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하는 함수 # 데이터의 개수 입력 n = int(input()) # 각 데이터를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입력 data = list(map(int, input().split())) # 65 90 75 34 99 입력 data.sort(reverse=true) # 내림차순 정렬 print(data) # [99, ..
[동빈나]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 (2)(2020.12.30 ~ 31) [동빈나]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 (2)(2020.12.30 ~ 31) 본 내용은 해당 강의 토대로 작성 파이썬 문법 부수기 자료형 모든 프로그래밍은 데이터를 다루는 행위 Python의 자료형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 문자열, 리스트 , 튜플, 사전 등 1. 수 자료형 정수형(Integer)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 많은 유형의 문제에서 다루는 자료형 # 양의 정수 a = 1000 print(a) # 음의 정수 a = -7 print(a) # 0 a = 0 print(a) 실수형(Real Number)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 변수에 소수점울 붙인 수 대입하면 실수형 변수 처리 소수부가 0, 정수부가 0인 소수는 0을 생략하고 작성 할 수 있음 # 양의..
[우리밋_woorimIT] Python 배열,리스트,2차원 배열 (2020.12.24) 본 내용은 해당 강의1, 강의2 토대로 작성 Iterable Python에서 데이터가 반복해서 나타나는 형태의 객체들은 Iterable 이라고 정의한다.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List Tuple Set Dictionary Iterable 안에 있는 데이터를 다루는 괄호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 된다. 1차원 [1,2,3] 2차원 [ [1,2,3] , [4,5,6] ] 배열과 리스트 배열과 리스트는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들을 하나의 변수로 정의한다는 것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하지만, 배열은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들을 하나의 변수로 정의할 수 있고 리스트는 서로 다른 자료형이 데이터들도 하나의 변수로 정의할 수 있다. array = int, int, int, int … list = int, float, s..
Codeup: 기초 100제 (81~90) (2020.12.23) 사용 언어는 Python입니다. 1. 1083 369 게임을 이기는 프로그램 작성 x = int(input()); for i in range(1,x+1): if i % 3 ==0: print("X"); else: print(i); 2. 1084 빨강(r), 초록(g), 파랑(b)을 다르게 섞어 만들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조합과 총 가짓수 계산 r,g,b = input().split(); r = int(r); g = int(g); b = int(b); x = 0 for i in range(r): for j in range(g): for k in range(b): print(i,j,k); x = x+1; print(x); 3. 1085 1초 동안 마이크로 소리 걍악을 체크하는 수 : h 한 번 체크한 결과를..
Codeup: 기초 100제 (71~80) (2020.12.22) 사용 언어는 Python입니다. 1. 1073 정수를 순서대로 입력, 0이 아니면 입력된 정수를 출력하고 0이 입력되면 중단 2 X = input().split(); i = 0; x = int(X[i]); while x != 0: print(x); i = i + 1; x = int(X[i]); 2. 1074 정수(1 ~ 100) 1개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트다운 출력 x = int(input()); i = 0; while (i != x): print(x-i); i = i +1; 3. 1075 정수(1 ~ 100) 1개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트다운 출력 2 처음에 입력한 수 -1 부터 출력 x = int(input()); i = 1; while (i != x+1): print(x-i); i = i +1; 4...
Codeup: 기초 100제 (61~70) (2020.12.21) 사용 언어는 Python입니다. 1. 1063 입력된 두 정수 a,b 중 큰 값을 출력(조건문 사용하지 않고 3항 연산자 사용) a,b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 (a if a>b else b); Python의 3항 연산자는 if와 else로 표현 2. 1064 입력된 세 정수 a,b,c 중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3항 연산자 사용) a,b,c = input().split(); a = int(a); b = int(b); c = int(c); min = (a if a69: if score>89: print("A"); else: print("B"); else: print("C"); else: print("D"); 7. 1069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