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항해99 일지

항해 99 일지(49) - WIL07

WIL (Weekly I Learned)

이번주는 미니 프로젝트 과정 1주차로, 팀원들과 프로젝트 주제를 정하고 중간점검까지 목표로한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번주에 내가 배운것

  • useEffect
    • useEffect가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componentDidMount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알게 되었다.
    • 좀 더 깊게 공부하고 싶다.
  • styled-components
    • 프로젝트 전반에 사용할 스타일을 선언해 놓고 가져다 사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 팝업 구현
    • 이전에 사용한 팝업 기능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해 보았다.
  • 웹소켓
    • 웹소켓의 기초적인 이론을 배웠다.
  • 채팅 기능 구현
    • 웹소켓 기술을 웹 사이트에 적용
    • sockjs, stompjs 패키지를 사용해서 웹 소켓 기능을 구현
    • 백엔드와 소통하며 기능 구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해결
  •  axios
    • axios 코드를 한 파일에 정리하여 관리, 사용
  • async, await
    • 채팅기능을 구현하며, 통신을 위해서 사용

 

느낀것

  • 비동기 처리에 대한 공부
    • 서버와 소통할 때 필수 
    • 틈나는대로 꾸준히 공부하자
  • React 공식 docs의 유용함
    • 정말 잘 나와있다. 막힐 때 잘 참고하였다.
  • styled-componets의 장점
    • 나에게는 익숙하지 않고 어려운 스타일링 방식이었는데 장점을 알게 되었다.
    • 스타일을 props로 넘겨받고 그것을 응용하는 방식이 활용도가 높다.
    • 삼항연산자, 조건부 렌더링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내가 잘한 것

  • 포기하지 않은 것
    • 웹소켓은 정말 높은 산이었다. 웹소켓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고 스프링부트-리액트 간의 채팅 기능 구현에 대한 자료도 매우 적었다.
    •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구글링, stakcoverflow를 활용해서 최대한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 stompjs에 대한 자료가 너무 부족했는데(공식 docs도 잘 나와있지 않다.) 패키지 내부 코드를 참고하여 적절한 사용법을 알 수 있었다.

이제 미니 프로젝트 과정이 반 끝났다. 프로젝트 기능들도 목표로한 것을 목표시간 전에 이룰 수 있었다. 남은 시간동안 더 알찬 기능과 볼륨을 가진 프로젝트를 완성할 것이다!

그리고 미니 프로젝트 과정에 이어서 마지막 과정인 실전 프로젝트가 있을 예정이다. 해당 과정을 통해서 실제 서비스에서 일어나는 과정들을 몸소 체험하여 개발자로서의 소양을 갖추고 싶다.

'이모저모 > 항해99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 99 일지(51)  (0) 2021.04.20
항해 99 일지(50)  (0) 2021.04.19
항해 99 일지(48)  (0) 2021.04.17
항해 99 일지(47)  (2) 2021.04.16
항해 99 일지(46)  (0) 2021.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