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해당 강의 토대로 작성
추상화
01. 할당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s)
- 등호(=) : 할당 연산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왼쪽의 피연산자에 할당한다.
- 할당 연산자의 오른쪽부터 처리
- 처리된 값을 왼쪽의 피연산자에 할당
예시
let x = 5;
x = x - 2;
console.log(x); // 3 출력
02. 복합 할당 연산자 (Compound assignment operators)
// 두 줄씩 같은 표현
x = x + 1;
x += 1;
x = x + 2;
x += 2;
x = x * 2;
x *= 2;
x = x - 3;
x -= 3;
x = x / 2;
x /= 2;
x = x % 7;
x %= 7;
증가(increment), 감소(decrement) 연산자
// 두 줄씩 같은 표현
x = x + 1;
x += 1;
x = x + 2;
x += 2;
x = x * 2;
x *= 2;
x = x - 3;
x -= 3;
x = x / 2;
x /= 2;
x = x % 7;
x %= 7;
03. 함수의 실행 순서
- 기본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한 줄씩,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실행한다.
- 함수의 선언후, 호출 된다면 그 때 함수 내부의 코드가 실행된다.
예시
function square(x) {
return x * x;
}
console.log('함수 호출 전');
console.log(square(3) + square(4));
console.log('함수 호출 후');
//함수 호출 전
//25
//함수 호출 후
04. return문 제대로 이해하기
- 함수에서 어떤 값을 되돌려주는 output의 역할
- 함수의 실행을 중단
예시
function square(x) {
console.log('return 전');
return x * x; // 함수 실행 중단
console.log('return 후'); // Daed Code
}
console.log('함수 호출 전');
console.log(square(3));
console.log('함수 호출 후');
// 함수 호출 전
// retrun 전
// 9
// 함수 호출 후
- Dead Code : 실행되지 않는 코드
- 작성하지 않도록 한다.
05. return과 console.log의 차이
- return은 함수를 실행 후 어떤 값을 되돌려준다.
- console.log는 console에 어떤 값을 출력해 주는 함수
06. 옵셔널 파라미터
- 선택적으로 파라미터를 전달 할 수있다.
예시
function introduce(name, age, city = '서울'){ // 옵셔널 파라미터
console.log(`나는 ${name}이라고 해.`);
console.log(`나이는 ${age}이야.`);
console.log(`사는 도시는 ${city}이야.`);
}
introduce('코드잇', 4, '인천'); // 값을 모두 입력한 경우
console.log('');
introduce('greedysiru', 4) // 파라미터 값을 생략한 경우
// 나는 코드잇이라고 해.
// 나이는 4이야.
// 사는 도시는 인천이야.
// 나는 greedysiru라고 해.
// 나이는 4이야.
// 사는 도시는 서울이야.
- 옵셔널 파라미터를 생략하면, 함수 선언에서 설정한 기본값을 사용한다.
- 옵셔널 파라미터는 가장 뒷 자리에 선언해야 한다.
07. 변수의 scope
- 변수의 범위, 영역
- 변수는 유요한 범위가 있어, 범위를 벗어나면 오류가 발생한다.
블록문 (Block Statement) 안에서 선언된 변수
- JavaScript에서 중괄호( { } )로 감싸진 부분을 블록문이라 한다.
function myFunction() { // 블록문
let x = 3; // 지역변수
console.log(x);
}
myFunction(); // 3
console.log(x); // 오류
- 지역변수, 로컬변수 : 블록문 안에서 선언된 변수
- 블록문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블록문 내에서 변수 사용시, 가장 먼저 로컬 변수를 찾아 사용한다.
- 그 다음에는 글로벌 변수를 찾는다.
전역 변수
- 전역변수, 글로벌 변수 : 블록문 밖에서 선언된 변수
- 어느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let x = 3; // 전역변수
function myFunction() { // 블록문
console.log(x);
}
myFunction(); // 3
console.log(x); // 3
08. 상수 (constant)
- 변하지 않는 항상 일정한 값
- 선언시 값을 같이 입력
- 수정할 일이 없는 값을 다룰 때 사용
- ex. 원주율
const PI = 3.14
상수 작명법
- 알파벳을 대문자, 두 개이상의 단어를 밑줄로 구분한다.
- 상수와 변수를 구분하기 위함
myNumber -> MY_NUMBER
느낀점
마지막 퀴즈에서 엉뚱하게 짚어서 시간 소요가 있었다ㅠㅠ
'programming study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잇]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in JavaScript (1)(2021.2.15) (0) | 2021.02.15 |
---|---|
[코드잇] 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in JavaScript (3)(2021.2.13) (0) | 2021.02.13 |
[코드잇] 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in JavaScript (1)(2021.2.12) (0) | 2021.02.12 |
[코드잇]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in JavaScript (2021.2.12) (0) | 2021.02.12 |
[프로그래머스] Hello,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입문 (2) (2021.1.29) (0) | 2021.01.29 |